Sesac 웹 풀스택[새싹X코딩온]
서버 구축해보기(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), 도메인과 DNS
이쟝
2022. 11. 15. 13:51
1. 회원가입 후 결제수단 등록
2. console창 들어가서 서버생성 버튼 클릭
3. 부팅 디스크는 50GB / OS : Ubuntu / 서버 타입 : Micro (요금 부과 안되게)
4. 서버 설정
- Zone 서버 위치 결정(kr로 시작하는 것은 서버를 한국에 위치시키겠다는 것)
- Zone이 1과 2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는 "가용성 영역(Available zone)"이라는 것을 나눈 것
- 데이터 센터 오류로 인한 가동 중지 시간이 발생했을 경우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함이며, 같은 지역 내의 데이터 센터를 물리적으로 분리해 데이터를 보호한다.
스토리지
HDD: SDD 보다 성능이 좋지 않은 것 (micro 서버에서 사용 가능) | SSD : HDD 보다 성능이 좋지만 micro 서버에서 사용 불가능 > 요금 부과 |
인증키
나중에 본인이 서버의 관리자임을 증명할 일이 생겼을 때 이용하기 위한 키파일로 잘 보관해야한다!! .pem인증키 파일 생성된다.
ACG(방화벽)
- 어떤 포트를 개방할 지 설정하는 방화벽
- 보유하고 있는 ACG 중에서 선택 -> default-acg
- 22번 포트가 열려있는 거 만들기 (TCP, 0.0.0.0/0. 22)
공인 IP 설정 (Console > Services > Public IP)
- "공인 IP 신청"
- 적용 서버 선택
- 비용 월 4000원 정도(나는 10만 크레딧이 있어서 3개월 동안은 크레딧을 사용하게 되지만 3개월이 지나게 되면, 한달에 4000원 요금이 부과될 수 있어서 원하지 않으면 반납하는 게 좋다!)
5. Putty와 FileZilla 설치하기
6. Putty 실행 전 관리자 비밀번호 받기
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들어가서 서버 생성 시 다운받은 .pem 파일을 넣으면 관리자 번호 생성!
서버에서 무언가를 하고 싶다면 Putty를 실행시키는 것이고, 파일을 추가하거나 변경하고 싶다면 FileZilla를 실행시키는 것! 서버에서 아무것도 안한다면 굳이 둘다 실행시키지 않아도 됨!
7-1. Putty 실행
- Host Name => 서버 접속용 공인 IP / Port => 외부 포트 (외부 포트는 포트 포워딩 정보에서 추가가능)
- Security Alert가 뜨면 Accept!
- login as => root / password => 관리자 비밀번호 적기
- 접속 성공하면 passwd를 쳐서 패스워드 변경!
7-2. Putty에 IP 등록하는 방법 및 서버 접속 시간 변경
- Host Name에 IP주소 입력하고 Saved Sessions에 지정하고 싶은 이름 입력하고 Save
- IP등록을 마쳤으면 지정하고 싶은 이름을 Load하면 저장한 IP주소가 바로 뜬다!
- 서버 접속 시간 변경: Connection에 Seconds between keepalives 0 -> 30을 변경하고 다시 Session으로 돌아가서 Load 및에 Save! 다시 껐다가 켜서 Load를 해보고 확인해서 변경되었으면 성공!
8. FileZilla 실행
내 컴퓨터에 있는 것을 편하게 서버에 올리고 지금 올라와 있는 파일을 받고 싶을 때 사용한다.
- 파일 -> 사이트 관리자
- 일반 프로토콜: STFP / 호스트: 서버 공인 IP / 포트: 22
- 사용자와 비밀번호: root, 관리자 비밀번호
- 나만 사용하는 컴퓨터면 비밀번호 저장해도 상관 없을 무
설정이 완료되었으면 파일 밑에 아이콘을 누르면 설정한 이름으로 나와야 한다!
로컬 사이트: 컴퓨터 / 리모트 사이트: 내가 만든 구조
리모트 사이트에서 파일 함부로 삭제하면 큰일...!
url 주소 적는 곳에 내 공인 IP 주소를 적으면 웹페이지가 뜬다!
공인 IP | 외부에서 접속이 가능한 IP |
사설 IP |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한 IP |
9. 웹 서버 Apache 설치하고 확인!
많이 이용하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들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, HTML 문서와 같은 웹페이지를 반환하는 일종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(ex. apache)
Apache
- http 표준을 준수하도록 구축된 오픈 소스 형식의 웹 서버
- 오래 사용되어 온 만큼 거의 모든 OS에서 실행이 가능하고, 다양한 모듈을 갖고 있다.
10. Putty로 Apache 설치하기
#apt-get update (설치하기 전에 항상 로그인 하고, update 먼저)
#apt-get install apache2 Apache 설치
정상적으로 설치 되었다면 FileJilla에서 리모트 사이트에 var/www/html으로 폴더가 나와야 한다.
- /var/www/html에 있는 index.html을 로컬 사이트에 옮겨 놓는다.
- 로컬 사이트에서 변경을 한 뒤에 리모트 사이트에 변경한 것을 붙여 놓으면 변경사항이 수정된다.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