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sac 웹 풀스택[새싹X코딩온]
서버 구축해보기(AWS EC2, PuTTY, FileZila)
이쟝
2022. 11. 16. 18:37
2022.11.15 - [분류 전체보기] - 서버 구축해보기(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), 도메인과 DNS
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해서 서버를 구축해보았다. 이번에는 AWS EC2를 이용해서 서버를 구축해보고, PuTTY와 FileZila를 연결해보았다.
1. AWS EC2 Ubuntu 환경 구성
회원가입 후 로그인 콘솔 창 > 서비스 > 컴퓨팅 > EC2
인스턴스 시작
Amazon Machine Image는 ubuntu 선택
인스턴스 유형
키페어 -> 새로 생성 (RSA), 키페어를 생성하게 되면 .pem 파일을 받게 된다.
네트워크 설정과 스토리지 구성은 기본으로!
그럼 인스턴스가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HTTP Port를 열어야 외부접속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보안해서 인바운드 규칙을 편집한다!!
보안 > 보안 그룹 클릭 > 인바운드 규칙 편집 > HTTP, Anywhere-IPv4 저장
1. PuTTY에 연결
putty에 연결하기 위해서 .pem 파일을 .ppk 파일로 변환(private key로 변환하기 위해서 ) -> 구글링하기
우분투라서 HostName에 ubuntu@공통IP를 적고 Post 22 하고 Saved Sessions를 하면된다. Connection의 Data도 30으로 하면 좋음~
위에서 만들었던 .ppk 파일을 Private key file for authentication에 넣어주고 저장해준다.
2. FileZila에 연결
사이트관리자 > 새 사이트
호스트: 프로토콜 - SFTP / 호스트 - 공개 IP / 로그인 유형 - 일반 / 사용자 ubuntu
3. Nginx 웹 서버 설치
Putty를 켜서 Nginx서버를 설치한다.
- sudo : 일반 사용자가 root권한을 잠시 빌려 명령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
- su : 현재 사용자를 로그아웃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의 계정으로 전환하는 명령어
sudo su => 권한을 빌려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계정을 전환한다! (관리자 권한)
apt-get : 패키지 관리자의 도움을 받겠다는 명령어
apt-get update : 패키지 관리자를 제일 최신으로 업데이트!
apt-get install nginx : Nginx 웹서버 설치 명령어
크롬을 켜서 공개 IP주소를 쳐보면 사이트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.
4. node.js 설치
이 명령은 Ubuntu 20.04 설치에 NodeJS 16을 설치하는 데 필요한 PPA 소스를 추가합니다.
curl -s https://deb.nodesource.com/setup_16.x | sudo bash
이제 PPA 소스가 추가되었으므로 Ubuntu 20.04 설치에 NodeJS 16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.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.
sudo apt install nodejs -y
마지막으로 설치된 버전을 확인해보자.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.
node -v